안녕하세요. 남산돈가스입니다.
오늘은 개발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Git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이실직고 하자면, 매번 IDE에서 제공하는 UI환경으로만 Git을 이용하다 보니까 까먹는 경우가 생기게 되어 다시 한번 되짚어보자라는 생각에 포스팅을 적어봅니다...ㅎ
-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한 디렉토리에 새로운 Git 저장소를 생성하게 됩며, .git 디렉토리가 만들어집니다.
README.md 파일을 생성합니다.
- git status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git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add <file>
Untracked(git이 추적하지 않고있는) file을 git이 관리하는 파일로 추가하게 됩니다.
- git rm --cached <file>
tracked 된 file을 다시 untrack합니다. 위에서 add한 README.md 파일을 다시 untracked로 바꿔줄 수 있습니다.
- git commit -m "message"
Staged 상태인 파일들을 HEAD 상태로 변경합니다.
README.md 파일에 "# Hello"라는 문구를 편집한 뒤 git status 한 결과 modified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 변경 사항을 다시 commit 하려면 git add > git commit 을 하거나 git commit -a 옵션으로 변경 된 모든 파일을 commit 할 수 있습니다.
- git log
git commit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branch <branch name>
git에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한다.
그냥 git branch 명령어만 입력할 경우, 현재 checkout 된 branch와 모든 branch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 git checkout <branch>
새로 생성한 v1 브랜치로 넘어가려면 git checkout 명령을 입력한다.
현재 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checkout을 바로 해버리려고 하면 git checkout -b <branch name> 으로 브랜치 생성/전환을 할 수 있다.
- git merge <branch>
merge 명령을 통해 브랜치 간 변경사항을 병합할 수 있다.
- git stash
하던 작업을 commit 하지 않고 임시저장해두고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README.md 파일에 "stash source"라는 라인을 추가하고 status를 확인하면 modifed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git stash 명령어로 임시저장을 한다.
stash push 한 뒤 README.md 를 확인하면 변경 사항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작업을 진행한 뒤 다시 stash 작업을 되돌리려면, git stash apply 명령을 이용한다.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video.js 사용법 (0) | 2020.08.13 |
---|---|
Mac에 RabbitMQ 설치 및 실행하기 (1) | 2020.07.31 |
[JSON-Server] 코딩없이 Mock Restful API 서버 만들기 (0) | 2020.06.03 |
Kong API Gateway #2 - Konga & API 등록/요청 (0) | 2020.05.21 |
Kong API Gateway #1 - 개념 & 설치 (1) | 202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