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

Git 명령어 정리

반응형

안녕하세요. 남산돈가스입니다.

오늘은 개발하면서 자주 사용하는 Git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이실직고 하자면, 매번 IDE에서 제공하는 UI환경으로만 Git을 이용하다 보니까 까먹는 경우가 생기게 되어 다시 한번 되짚어보자라는 생각에 포스팅을 적어봅니다...ㅎ

  •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한 디렉토리에 새로운 Git 저장소를 생성하게 됩며, .git 디렉토리가 만들어집니다.

README.md 파일을 생성합니다.

  • git status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git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add <file>

Untracked(git이 추적하지 않고있는) file을 git이 관리하는 파일로 추가하게 됩니다.

  • git rm --cached <file>

tracked 된 file을 다시 untrack합니다. 위에서 add한 README.md 파일을 다시 untracked로 바꿔줄 수 있습니다.

  • git commit -m "message"

Staged 상태인 파일들을 HEAD 상태로 변경합니다. 

README.md 파일에 "# Hello"라는 문구를 편집한 뒤 git status 한 결과 modified 상태가 되었습니다.

이 변경 사항을 다시 commit 하려면 git add > git commit 을 하거나 git commit -a 옵션으로 변경 된 모든 파일을 commit 할 수 있습니다. 

  • git log

git commit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git branch <branch name>

git에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한다.

그냥 git branch 명령어만 입력할 경우, 현재 checkout 된 branch와 모든 branch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

  • git checkout <branch>

새로 생성한 v1 브랜치로 넘어가려면 git checkout 명령을 입력한다.

현재 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고 checkout을 바로 해버리려고 하면 git checkout -b <branch name> 으로 브랜치 생성/전환을 할 수 있다.

  • git merge <branch>

merge 명령을 통해 브랜치 간 변경사항을 병합할 수 있다.

  • git stash

하던 작업을 commit 하지 않고 임시저장해두고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README.md 파일에 "stash source"라는 라인을 추가하고 status를 확인하면 modifed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git stash 명령어로 임시저장을 한다.

stash push 한 뒤 README.md 를 확인하면 변경 사항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작업을 진행한 뒤 다시 stash 작업을 되돌리려면, git stash apply 명령을 이용한다.